네트워크 가상화(Network Virtualization)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자원을 논리적으로 분리하고 추상화하여,
여러 개의 가상 네트워크를 하나의 물리 네트워크 위에 생성하고 운영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.
간단히 말해서:
- 물리적인 네트워크 장비(스위치, 라우터 등)를 직접 다루지 않고,
- 소프트웨어적으로 여러 개의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만들어
- 각기 다른 용도로 독립적이고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.
주요 특징:
- 유연성: 네트워크 구성 변경이 쉬움
- 보안성: 서로 격리된 가상 네트워크 제공
- 비용 절감: 물리 장비 최소화
- 자동화: 클라우드 환경에서 자주 사용됨 (예: AWS VPC, VMware NSX 등)
1. 사례
① 클라우드 환경 (AWS, Azure, GCP 등)
- AWS VPC (Virtual Private Cloud): 사용자가 가상 네트워크를 직접 설계하고 라우팅, 방화벽 등을 설정 가능.
- Azure Virtual Network, Google Cloud VPC도 유사하게 작동.
- 서로 다른 사용자나 서비스가 완전히 분리된 네트워크 환경을 가질 수 있음.
② 데이터센터 내 네트워크 분리
- 기업 내부 데이터센터에서 부서별로 가상 네트워크를 생성해 트래픽을 분리하고, 보안 영역을 나눔.
- 예: 개발팀, 보안팀, 운영팀 각각의 가상 네트워크 운영.
③ 가상 데스크탑 인프라 (VDI)
-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서버를 사용하지만, 네트워크적으로는 서로 완전히 분리된 환경에서 동작.
- VMware Horizon, Citrix Virtual Apps & Desktops 등.
2. 대표적인 기술 종류
① VLAN (Virtual LAN)
- 가장 오래된 가상화 기술 중 하나.
- 같은 스위치 내에서도 포트를 그룹 지어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리함.
② VXLAN (Virtual Extensible LAN)
- VLAN의 확장판으로, 대규모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.
- 기존 VLAN의 한계를 극복해, 최대 1,600만 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지원.
③ SDN (Software-Defined Networking)
-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아키텍처.
- OpenFlow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중앙에서 네트워크 장비를 제어.
- 컨트롤 플레인과 데이터 플레인을 분리.
④ NFV (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)
- 방화벽, 로드 밸런서, 라우터 등 전통적인 네트워크 장비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가상화.
- 클라우드 또는 범용 서버에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함.
⑤ Overlay 네트워크
- 기존 물리 네트워크 위에 소프트웨어로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.
- VXLAN, GRE, GENEVE 같은 터널링 기술 사용.
- 컨테이너 환경(Docker, Kubernetes 등)에서도 많이 쓰임.
네트워크 가상화 개념 도식
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│ 물리적 네트워크 인프라 │
│ (서버, 라우터, 스위치 등 실제 장비) │
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
│
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│ │ │
▼ ▼ ▼
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│ 가상 네트워크 1 ││ 가상 네트워크 2 ││ 가상 네트워크 3 │
│ (예: 개발망) ││ (예: 운영망) ││ (예: 보안망) │
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
│ │ │
각각 독립된 라우팅, 보안 정책, 주소 체계
설명:
- 물리 네트워크: 실제 하드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인프라.
- 가상 네트워크: 논리적으로 분리된 네트워크 그룹들. 실제로는 같은 물리 장비를 쓰지만, 서로 완전히 독립적으로 동작함.
- 각각의 가상 네트워크는 **다른 팀이나 목적(보안, 테스트 등)**을 위해 나눌 수 있음.
'공부 > AWS 및 서버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Hub Actions] Spring 프로젝트 CI 구축하기 (2) | 2025.04.15 |
---|---|
AWS 패턴 2: 기업 웹사이트 (1) | 2025.04.13 |
AWS 패턴 1 : 이벤트 사이트 (핵심, 설계, 구현 방법 ) (3) | 2025.04.11 |